본문 바로가기

한국사22

[한국사] 조선 왕조 1 - 15세기 조선의 왕, 아이엠그라운드 27명 소개하기. ※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 비록 저는 성인이 된 후에 한국사를 공부하면서 제대로 알게 되었지만(반성합니다)... 대한민국 국민에게 친숙한 조선 왕의 순서입니다. 사실 조선시대는 왕의 순서만 알아도 풀리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꾸러기 수비대(똘기 떵이 호치 새초미 자축인묘, 드라고 요롱이 마초 미미 진사오미, 뭉치 키키 강다리 찡찡이 신유술해~)' 노래처럼 정확하게 입에 붙도록 암기합시다. 15세기, 조선전기(왕권과 통지체제의 정비) 태조(1392~1398)정종(1398~1400)태종(1400~1418)세종(1418~1450)문종(1450~1452)단종(1452~1455)세조(1455~1468)예종(1468~1469)성종(1469~14.. 2023. 9. 11.
[한국사] 고려 왕조 4 1. 들어가며 이번 고려 왕조 4는 고려 왕조의 마지막, 원 간섭기와 고려 말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많이 부족하지만 수험 시절에 공부했던 내용들을 토대로 어려웠던 부분을 그때의 나에게 보여준다는 생각으로 정리하고 있으니 저와 같이 한국사가 멀게만 느끼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저의 블로그가 위안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무신 집권기 19대 명종~ 24대 명종 업적 확인하기 ≫ 2. 원 간섭기· 원 나라(1271): 몽골은 국호를 원으로 고치고 고려를 일본 정벌에 동원 하거나 내정간섭을 단행하였다.· 쌍성총관부(1258, 철령이북): 화주(영흥)에 고종 때 조휘, 탁청의 배신에 의해 설치되어 철령 이북 땅을 관할하게 하였다. 공민왕(1356) 때 유인우가 무력으로 탈환하였다. 이후 명의 철령위 .. 2023. 9. 11.
[한국사] 고려 왕조 3 고려 왕조 개괄표 확인하기 고려 초 1대 태조 ~ 6대 성종 업적 확인하기 ≫ 고려 중기 7대 목종~ 18대 의종 업적 확인하기 ≫  1. 무신 정변(경인년의 난, 1170)의 영향· 왕권 약화 및 무신들에 의한 왕의 잦은 교체로 통치 질서의 문란· 문벌 귀족 사회 붕괴와 능문능리의 신진 관료인 사대부들이 정계로 진출하며 관료 체제로의 전환 촉진· 전시과 체제의 붕괴로 지배층 무신들의 대토지(농장) 소유 확대, 국가의 세금 수취와 무신들의 수탈 심화로 하극상의 풍조 발생· 무신들의 권력 쟁탈전으로 국가의 지방 통제력이 약화· 농민과 천민의 대규모 봉기 발생 및 하층민 출신들이 지배층으로 오르는 경우가 많았음· 신앙 결사 운동 전개 및 최씨 무신 정권의 후원으로 선종의 발달· 문벌 귀족의 몰락으로 유학의 .. 2023. 9. 11.
[한국사] 고려 왕조 2 고려 시대를 공부할 때 어려웠던 점 중 하나가 인물, 사건에 맞는 왕대를 파악하는 것이었습니다.저처럼 힘들게 느껴지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고려 왕조 개괄 표를 만들어 이전 글에 게시해 두었습니다.참조 바랍니다: 고려 왕조 개괄표 확인하기 ≫ 7대 목종· 경종의 맏아들로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이 많았으나 강조의 정변으로 피살되었다.· 개정 전시과 개정: 성종 때 정비된 관등제를 기준으로 관직의 고하에 따라 객관적 토지 분급의 체제로 전시과를 개편하였다.· 강조의 정변: 목종에게 후사가 없자 모후인 천추태후와 김치양 일당이 유일한 적통인 현종을 죽이려고 하자 서북면 도순검사 강조가 군사를 동원하여 김치양 일파와 목종을 시해하고 현종을 왕으로 옹립하였다. 8대 현종· 강조의 .. 2023. 9. 11.
[한국사] 고려 왕조 1 1. 태조 왕건· 신라 궁예의 부하로, 부하에게 옹립되어 고려를 건국(918)하였으며 연호를 천수라 하였다.· 이듬해 철원에서 송악으로 도읍지를  정하여 천도하였다.· 신라 왕실의 여자를 아내로 맞는가 하면 신라 귀족을 지극히 위하였다. 고려 관료 중에는 신라계 인물이 다수 포함되었다.· 중국 5대 여러 나라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개국 공신과 지방의 호족들을 관리로 등용하였다.· 교육을 장려하기 위해 국가에서 육영재단인 학보를 설치하였다.· 태봉의 관제를 중심으로 신라와 중국의 제도를 참고하여 정치 제도를 마련하였다. 1) 민생 안정책· 취민유도를 표방하며 세율을 1/10로 경감하고 물자 징발, 강제 동원, 전쟁을 회피하였다.·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주고 추수 후 갚는 빈민구제기관인 흑창을 설치하였.. 2023. 9. 11.
[한국사] 후삼국의 성립 ※ 고려의 건국 과정후백제 건국(900, 완산주) → 후고구려 건국(901, 송악) → 마진으로 국호 변경(904, 후고구려) → 철원으로 천도(905, 마진) → 당 멸망(907) 후 5대 10국의 혼란기 → 태봉으로 국호 변경(911, 마진) → 요나라 건국(916, 거란) → 고려 건국(918, 왕건) → 송악 천도(919, 왕건) → 대야성 전투(920, 견훤의 신라 공격) → 발해 멸망(926, 대인선 때 거란족의 침략) → 공산(대구) 전투(927, 후백제 승리, 견훤의 신라 공격으로 경애왕 살해→신라가 고려에 도움 요청→고려 vs후백제→고려 신숭겸, 김락 등 전사) → 고창(안동) 전투(930, 고려 vs후백제, 고려 승)→발해 왕자 대광현의 고려 망명/운주성(운이랑) 전투-왕건의 승리(93.. 2023.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