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22

[한국사] 발해의 정치 변화와 발전 2. 발해(남 · 북국 시대)고구려 유민들이 요동을 거점으로 당에 지속적인 저항을 하자, 당은 보장왕을 요동 도독으로 임명하고 소고구려국(친당)을 세워 무마하려고 하였으나,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하였다. 696년 거란족 이진충이 당나라에 일으킨 반란을 틈타 대조영을 중심으로 고구려 유민, 말갈 집단이 만주 동북 지방으로 이주하였다.대조영이 길림성 돈화현 동모산 기슭에 '진'을 건국(698)하였다.이로써 남쪽의 신라와 북쪽의 발해가 공존하는 남북국시대가 출현하였다.    1) 고왕 (대조영, 698~719)거란족 이진충의 난(696)을 틈타 만주 동북 지방으로 이주하였다.길림성 돈화현 동모산 기슭에 '진'을 건국(698)하였다.연호를 천통이라고 하고, 당나라 현종에게 발해군왕으로 책봉되면서 국호를 발해로 변.. 2023. 9. 11.
[한국사] 통일 후 신라의 정치 변화와 발전 1. 통일 신라 (남 · 북국 시대)    1) 신라 중대의 정치무열왕 ~ 혜공왕 (삼국사기 구분에 의함): 무열계 진골의 왕위 세습왕권의 강화국왕과 집사부(시중) 중심의 정치6두품(행정실무 담당, 국왕의 정치적 조언자)의 역할 증대화백회의(상대등)의 권한 약화13개 관부를 병렬적 독립기관으로 하였으며, 각 부의 장관은 여러 명이었다.        (1) 무열왕 (김춘추, 654~661)김유신의 후원을 받은 김춘추는 상대등 비담의 반란을 진압하고 상대등 알천을 견제하여 최초의 진골 출신 왕이 되었다.무열 왕계 진골 직계 자손이 왕위에 오르기 시작하였다.백관들을 감찰하는 감찰 담당 기구인 사정부를 설치(659)하였다.백제를 정복하였다. (660)집사부 시중의 권한을 강화하여 상대등 세력을 억제하여 진골 귀.. 2023. 9. 11.
[한국사]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중국을 통일한 수나라가 동북쪽으로 세력 확대를 꾀하고, 한강유역을 독점한 신라 세력이 팽창하면서 고구려를 압박하자 고구려는 백제 · 돌궐 · 왜와 연합하여 신라를 압박했다. 그러자 신라는 중국의 수 · 당과 동맹을 맺어 대응하였다. (십(十) 자 외교)고구려의 대중국 전쟁 승리는 중국의 한반도 침략을 저지하여 백제와 신라의 방파제 역할을 한 것이다. 1. 고구려 VS 수나라위진 남·북조의 대립을 적절하게 이용하던 고구려는 수의 문제가 중국을 통일하고 돌궐을 정복하자, 고구려의 영양왕이 말갈군 일만 명을 이끌고 요서지방을 선제공격하였다. 이에 수 문제가 30만 대군을 이끌고 침략(1차)하였다.수 문제의 30만 대군은 고구려의 반격과 질병, 태풍으로 인하여 실패하였다.수 양제의 100만 대군이 침입하여 평양.. 2023. 9. 11.
[한국사] 고대 국가 및 남북국시대의 통치 체제 1. 삼국의 통치 체제▷  삼국 초기의 통치 체제부족적인 성격으로 각 부의 귀족들이 각자 자신의 영역을 지배하였으며, 각자 제사를 지낼 정도로 왕권이 미약하였다. (외교권은 왕이 직접 하였다.귀족 합의 기구가 존재하였다. 성 · 촌 단위로 지방 행정이 형성되었다.▷  삼국 후기의 통치 체제행정적 성격이 강해지며, 왕권 강화를 위해 관등제를 정비하고 지방행정 조직과 군사 조직을 일원화하였다.부 · 방 · 주 단위로 지방 행정을 개편하였으며, 지방관은 군대의 지휘관이었다.     1) 고구려       "감옥이 없고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들이 모여서 논의하여 사형에 처하고 처자들은 몰수하여 노비로 삼는다."관등: 평양 천도 이후 관등제를 정비하였다. 10여 관등으로 태대형, 대형, 소사자 등이 있다.수상(국상.. 2023. 9. 11.
[한국사] 신라 · 가야의 건국과 발전 1. 신라BC 57년 박혁거세가 건국하였으며, 경주지역 토착민(박 씨 성 · 김 씨. 성) 및 유이민(석탈해) 집단과 함께 진한의 소국인 사로국에서 시작하였다.  1) 내물마립간 (17대, 356~402)낙동강 동쪽의 진한 지역을 거의 차지하였다. (사로국 → 훗날 신라)기존 박 · 석 · 김씨의 왕위 교대 방식에서 김 씨 왕위 세습 및 형제 상속으로 변경하였다.왕호를 마립간*으로 개칭하였음고구려를 통해 전진과 수교하였으며, 광개토 대왕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왜구를 격퇴하였다.신라에서 위두(사신)를 전진으로 파견하여 전진의 왕 부견에게 특산물을 보낸 것이 신라와 중국의 최초 교역이다.신라 왕호의 변천 및 의미사용 시기거서간(군장, 신령한 대인/제정일치)박혁거세차차웅(무당, 제사장/제정분리)남해이사금(연장자.. 2023. 9. 11.
[한국사] 고구려 · 백제의 건국과 발전 1. 고구려BC 37년 동명왕(주몽)이 압록강 유역 토착 세력과 부여 계통 유이민을 통합하여 졸본(오녀산성)에서 건국하였다.2대 유리왕 때 통구의 국내성으로 천도  1) 태조왕 (6대, 53~146)계루부 고씨의 왕위 독점 세습이 있었음(동) 옥저 복속 및 동예를 공격함요동·현도군을 공격하였음  2) 고국천왕 (179~197)부족적이던 5부를 행정적(수직화)으로 개편하였음왕위 부자상속 실시국상 을파소의 건의로 진대법(춘 대 추납)을 실시하면서 귀족을 견제함과 동시에 농민을 안정시켰으며, 왕권을 강화하였다.  3) 동천왕 (227~248)서안평을 공격하였으며, 위나라 관구검의 침입으로 환도성과 국내성이 함락됨.중국 오나라와 수교를 하며 위나라를 견제하였음  4) 미천왕 (을불, 300~331)서안평 점령낙.. 2023.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