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22

[한국사] 고조선 및 여러 나라 1. 고조선의 세력 범위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요령 지방과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이룩하면서 발전하였다. 비파형 동검, 고인돌(탁자식, 북방식), 거친 무늬 거울, 미송리식 토기로 세력 범위를 알 수 있다.고조선: 청동기 문화를 배경으로 건국되었으며, 이후 철기문화를 수용하여 발전하였다.삼국유사(일연), 동국통감(서거정)에 따르면 단군왕검이 기원전 2333년(요임금)에 고조선을 건국하였다. (여고 동시) 2.  단군 조선기원전 4세기 요서 지방을 경계로 하여 전성기를 이루며, 연 나라와 대립하였다.스스로 왕이라 칭함기원전 3세기 초 진개(연)의 침입으로, 대동강 유역으로 중심지가 이동하였다. 강력한 왕(부왕)의 등장으로 왕위 세습 및 상, 대부*, 박사*, 장군 등의 관직을 정비하였다.*.. 2023. 9. 10.
[한국사] 선사시대 선사시대: 선사시대란 역사적 사실을 문자로 기록하기 전을 말한다.1. 구석기시대우리나라에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나 우리 민족이라 볼 수 없는 이동생활이 이루어졌다.뗀석기(찍개, 팔매돌, 슴베찌르개, 주먹도끼, 긁개, 밀개)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전기, 중기, 후기로 나뉜다.주로 사냥, 채집, 어로 등으로 경제생활을 하였으며,동굴, 바위 그늘에서 살거나 강가에 막집을 짓고 이동생활을 하였다.평등한 공동체적 생활을 하였으며, 무리 중에서 지혜로운 사람이 지도자가 됐다. (지배자를 뜻하는 것 아님)고래와 물고기 등을 새긴 조각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사냥감의 번성을 기도하는 주술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2. 중석기 시대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빙기를 말하며, 구석기에서 신석기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다.동, 식물의 번성,.. 2023. 9. 10.
[한국사]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23.5.최신) ※2023년 5월 기준입니다. (기록유산 2가지 추가)  자연유산·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2007)· 한국의 갯벌(2021, 충남 서천군, 전남 신안군, 전북 고창군, 전남 순천시·보성군)  문화유산(13)· 해인사 장경판전(1995, 15세기 건축물(고려의 팔만대장경 보관), 건물의 앞뒷면에 위치와 크기가 서로 다른 창문 설치, 자연통풍과 적절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건축물, 전면과 후면의 창호 크기가 다름) · 종묘(1995, 좌묘우사, 홍범 14조 발표, 수평 강조/ 정전(메인): 종묘의 중심건물로 춘·하·추·동·섣달 제례/ 영녕전: 종묘의 일부로 정전의 서북쪽에 위치하였으며, 춘·추·(섣달) 제례를 지냄) · 석굴암과 불국사(1995, 경덕왕 때 김대성이 창건 시작, 혜공왕 때 .. 2023. 8. 12.
[한국사]1894 동학농민운동(혁명) (1894) 동학농민운동(혁명)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 여부 안녕하세요! 이번 5월에는 세계기록유산에 동학농민혁명기록물과 4·19 혁명 기록물의 등재 여부가 발표됩니다. 한국사에서 '운동'으로 표현되었지만 '혁명'적인 성격이 있는 사건들이 몇 가지 있는데 그중 하나로 꼽히는 동학농민운동입니다.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가 된다면 앞으로 동학농민운동이 아니라 동학농민혁명으로 기록되고 학습될 거 같습니다. 이번 두 기록물의 등재는 인권과 민주주의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이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순간이 될 것입니다.   (1892~1893) 교조신원운동(집회)#1차(1892. 11.) 공주·삼례집회교조 최제우(1864처형)의 명예 회복과 동학 교도에 대한 탄압 중지를 요구한 운동#2차(1893... 2023.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