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사

[한국사] 고조선 및 여러 나라

펭키라_HK 2023. 9. 10. 23:20
반응형

1. 고조선의 세력 범위

  •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요령 지방과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이룩하면서 발전하였다. 
  • 비파형 동검, 고인돌(탁자식, 북방식), 거친 무늬 거울, 미송리식 토기로 세력 범위를 알 수 있다.
  • 고조선: 청동기 문화를 배경으로 건국되었으며, 이후 철기문화를 수용하여 발전하였다.
  • 삼국유사(일연), 동국통감(서거정)에 따르면 단군왕검이 기원전 2333년(요임금)에 고조선을 건국하였다. (여고 동시)

 

2.  단군 조선

  • 기원전 4세기 요서 지방을 경계로 하여 전성기를 이루며, 연 나라와 대립하였다.
  • 스스로 왕이라 칭함
  • 기원전 3세기 초 진개(연)의 침입으로, 대동강 유역으로 중심지가 이동하였다. 
  • 강력한 왕(부왕)의 등장으로 왕위 세습 및 상, 대부*, 박사*, 장군 등의 관직을 정비하였다.
    • *대부왕에게 조언하는 
    • *박사: 지방을 통치하는  

    1) 단군신화가 기록된 역사서

  • 최초 기록은 중국의 '관자'와 우리나라의 '삼국유사' 기이편이다.
  • 삼국유사/ 일연/ 충렬왕
  • 제왕 운기/ 이승휴/ 충렬왕
  • 세종실록지리지/ 변계량, 맹사성/ 단종
  • 응제 시주/ 권람/ 세조
  • 동국여지승람/ 노사신/ 성종
  • 동국통감/ 서거정/ 성종
  • 표제음주동국사략/ 유희령/ 중종

 

3.  위만 조선(BC194~BC108)

  • 진, 한 교체기에 위만이 무리 1000여 명을 데리고 고조선에 들어올 때 오랑캐 옷(호복, 조선인의 옷)을 입었다.
  • 준왕의 신임으로 박사에 임명되어, 서쪽 변경의 수비를 담당하였다.
  • 위만이 왕검성에 쳐들어가 고조선의 준왕을 몰아내고 위만 왕조를 세웠다.
  • '조선'을 그대로 국호로 사용하였으며, 토착민 출신의 고위 관리가 많았다.
  • 위만은 집권 후 철기문화를 본격적(처음 X)으로 수용하였다. 철기를 바탕으로 농업, 수공업, 상업, 무역이 발달하였다.
  • 위만조선이 한과 진사이의 중계 무역으로 이익을 독점하였다.
  • 북방의 흉노*와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한과 대립하였다.
  • 진번, 임둔 등을 정복하며 활발한 정복 사업을 진행하였다.
  • 왕, 태자, 비왕, 상, 대신, 경, 장군 등의 관직을 정비하였다.
  • 한 무제가 침입하였고 장기간의 전쟁(약 1년)을 하게 되었다.
  • 1차전 패수 승리하였으나, 고조선에서는 지배층의 내분이 일어나 왕검성이 함락되었다.
  • 한은 고조선 땅에 낙랑, 임둔, 진번, 현도를 한 군현(한 4군)으로 설치하였다.
  • 한 군현 설치 이후 법 조항도 60여 개 조로 증가하였고, 풍속도 각박해져 갔다.

  *북방의 흉노: 기원전 318년부터 시작된 몽골고원을 고향으로 하는 기마유목민족이다.

 

4.  부여 

  • 건국설화인 동명 설화가 중국의 '논형'에 전해진다.
  • 만주 송화강 유역의 평야지대로, 동이 지역 중 가장 넓고 평탄하다.
  • 토지는 오곡을 가꾸기에 적당하지만 과일은 생산되지 않았다. '삼국지'
  • 사람들 체격은 크고 강직하며, 용맹, 근엄, 후덕하다.
  • 왕, 마가, 우가, 저가, 구가로 5 부족 연맹체이다.
  • 가(마가, 우가, 저가, 구가)들이 왕을 추대하며, 흉년 시 왕에게 책임을 물을 정도로 왕권이 미약하였다.
  • 여섯 가축의 이름으로 관명을 정하였다.
  • 1세기 초에 이미 왕호를 사용하였으며, 일시적으로 왕위 부자 상속도 있었다.
  • 농경과 목축이 발달(반농 반목)하였으며, 말, 주옥(적옥), 모피가 특산물이다.
  • 지배층의 혼인 풍습으로 형사 취수제가 있으며, 이는 남편 집안 재상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 소를 죽여 굽으로 길흉을 점치는 '우제점법'이 있었다.
  • 흰 옷을 숭상하고, 은력을 사용하였으며, 순장 풍습이 있었다.
  • 살인죄를 저지르면 사형에 처한다. (가족은 노비로 전락하는 연좌제였음.)
  • 절도죄를 저지르면 12배를 배상해야 한다. (1 책 12 법)
  • 간음한 자나 투기한 자는 사형에 처한다.
  • 부여의 제천행사는 영고라고 하였으며, 12월에 행해지며, 수렵 사회의 전통을 보여주는 행사였다. 전쟁 시에도 영고는 진행되었다.
  • 3세기 말 선비족의 침략으로 점점 쇠퇴하였으며, 5세기 말(문자왕, 494)에 연맹 왕국 상태로 고구려에 편입되었다.
  • 여름에 사람이 죽으면 얼음을 넣어서 장사를 치렀으며, 국왕의 장례에는 후연으로부터 받은 옥갑을 사용하였다.

 

5.  고구려

  • 압록강 지류인 동가강 근처인 졸본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되었다.
  • 1C 2대 유리왕 때 국내성으로 천도하였다.
  • 사람들의 성품은 흉악하고, 급하며, 노략질을 좋아한다.
  • 5 부족 연맹체*이며, 부여의 별종으로 취급되었다.  *5 부족 연맹체: 계루부, 절노부, 소노부, 관노부, 순노부
  • 1세기 초에 이미 왕호를 사용하였으며, 왕 아래 상가, 고추가 등 대가가 존재하였다. 이들은 각기 사자, 조의, 선인 등 관리를 거느렸다.
  • 부족장들인 가(상가, 고추가 등)들의 회의로 제가 회의가 있다.
  • 고구려는 감옥이 존재하지 않았기에 제가 회의를 통해 중대범죄에 대한 사형(그 가족은 노비로 삼음)을 결정하였다.
  • 약탈 경제가 발달하였고, 약탈물을 보관 창고인 부경이 있었다.
  • 고구려의 특산물로는 뿔이나 쇠로 만든 맥궁이 있다.
  • 신부집 뒤에 서옥을 짓고 자식을 낳아 장성하면 아내를 데리고 신랑집으로 돌아가는 서옥제 풍습이 있는데, 이는 노동력을 중시하고 부여의 모계사회 유습을 반영한다.
  • 부여와 유사한 1 책 12 법, 형사 취수제, 우제점복과 비슷한 점복이 있었다.
  • 고구려의 제천행사는 국중대회로 10월 국동대혈에서 제사를 지내는 동맹이 있는데 추수감사와 수렵 사회를 의미하는 제천행사다.
  • 고구려는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였다.
  • 고구려는 혼인 때부터 수의를 마련하며, 장례 때 금, 은, 돈, 폐백을 후하게 사용하는 후장의 풍습이 있으며, 돌무지무덤을 조성하여 소나무와 잣나무를 심기도 하였다.

 

6.  옥저 

  • 함경도 동해안으로 고구려 개마 대산 동쪽에 위치한다.
  • 소금, 어물 등을 고구려에 공납하였다.
  • 여자가 어렸을 때가 남자 집에서 성장 후 남자 집에서 성장 후 남자가 예물을 치르고 혼인하는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매매혼, 예부제)
  • 시체를 가매장한 후 뼈를 추려 가족 공동 무덤인 목곽에 안치한 후 목곽 입구에 쌀 항아리를 매달아 놓는 가족 공동 무덤인 골장제, 세 골장 풍습이 있다.
  • 군장 국가 단계에서 고구려에 복속되었다. (왕 없음)
  • 전투 시 창을 가진 보병 위주였다.

 

7.  동예 

  • 강원도 북부 동해안에 위치한다.
  • 명주나 삼베를 만드는 방직 기술이 발달하였다.
  • 특산물로는 단궁, 과하마, 반어피가 있다.
  • 폐쇄적 씨족 사회의 전통인 책화*, 족외혼 풍습이 있다.

       *책화: 다른 부족의 영역을 침범할 경우에는 노비, 소, 말로 변상하는 제도.

  • 병을 앓거나 사람이 죽으면 옛 집을 버리고 새집을 지어 살았다.
  • 호랑이를 숭배하는 범토템 사상이 있다.
  • 철자형, 여자형 집터가 남아있다.
  • 10월에 제천행사가 있는데, 무천이라고 하였다.
  • 옥저와 마찬가지로 군장 국가 단계에서 고구려에 복속되었다. (왕 없음)

 

  ※옥저와 동예의 공통점

  •  군장 국가(왕이 없으며, 군장(읍군, 삼로, 후)이 지배하는 국가) 단계에서 고구려에 복속.
  • 토지가 비옥하고 해산물(어물, 소금)이 풍부하였다.

 

8.  삼한

  • 한반도 남부 지역에 위치한다.
  • 78개 소국 연맹이 모인 연맹 왕국으로써,
    •   마한(54국): 경기, 충청, 전라 지역으로 고조선 준왕이 내려옴.
    •   변한(12국): 김해, 마산지역으로 구야국이 있음.
    •   진한(12국): 대구, 경주 지역으로 사로국이 있음.
  • 신지, 견지 대군장과 읍차, 부례 소군장이 있다.
  • 마한의 목지국 지배자가 마한왕(진왕)으로 추대되어 삼한을 주도하였다.
  • 저수지를 축조하여 벼농사가 발달하였다.
  • 공동 노동 조직인 두레가 발달하였으며, 양잠이 성행하여 비단옷을 생산했다.
  • 변한에서 철이 많이 생산되었는데 이를 낙랑과 왜에 수출하였으며, 철을 교역에서 화폐처럼 사용하였다.
  • 토기, 철기를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수공업 집단마을이 있었다.
  • 삼한은 제정이 분리된 사회로 군장은 정치적 지배자였으며, 제사장인 천군이 신성 지역 소도(별읍)를 관할하였다. 소도에는 솟대를 세워 신성한 곳임을 표시하였고 이곳에서 농경과 종교에 대한 의례를 주관하였으며, 군장 세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었다.
  • 주거 형태는 초가지붕의 반움집과 통나무집인 귀틀집이 있다.
  • 5월과 10월에 제천행사가 있었으며 5월 제천행사를 수릿날이라고 불렀으며, 10월은 계절제라 하였다.
  • 변한과 진한의 풍습 중에 아이가 태어나면 돌로 머리를 눌러 납작하게 하는 편두와 문신이 있다.
  • 마한은 소와 말을 함께 순장하였으며, 진한과 변한에서는 새 깃털을 함께 매장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