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2023년 5월 기준입니다. (기록유산 2가지 추가)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 유산 정리 23년 5월 기준
자연유산 2, 문화유산 13, 기록유산 18, 무형문화유산 22

 

자연유산

·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2007)

한국의 갯벌, 사진출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한국의 갯벌(2021, 충남 서천군, 전남 신안군, 전북 고창군, 전남 순천시·보성군)

 

 

문화유산(13)

· 해인사 장경판전(1995, 15세기 건축물(고려의 팔만대장경 보관), 건물의 앞뒷면에 위치와 크기가 서로 다른 창문 설치, 자연통풍과 적절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건축물, 전면과 후면의 창호 크기가 다름)

 

· 종묘(1995, 좌묘우사, 홍범 14조 발표, 수평 강조/ 정전(메인): 종묘의 중심건물로 춘·하·추·동·섣달 제례/ 영녕전: 종묘의 일부로 정전의 서북쪽에 위치하였으며, 춘·추·(섣달) 제례를 지냄)

 

· 석굴암과 불국사(1995, 경덕왕 때 김대성이 창건 시작, 혜공왕 때 완성)

 

· 창덕궁(1997, 조선 태종 때 지어진 궁궐, 정문인 돈화문은 다포양식으로 되어있으며, 후원에 규장각이 설치되어있다. 자연과 조화를 이룬 배치)

 

· 수원화성(1997, 상업적·군사적 목적으로 지어진 건축물, 정조 때 건설, 정약용 설계, 채제공 감독, 거중기 사용, 방어와 공격이 모두 가능한 성, 장헌세자(사도세자) 무덤(현륭원, 장조로 추존되면서 광무개혁 때 융릉으로 개칭)과 정조무덤(건릉)이 있다.)

 

· 경주역사유적지구(2000, 남산지구: 불교 유적(나정, 포석정, 배리 석불 입상)/ 월성지구: 옛 왕궁 터, 계림, 안압지(임해전지), 첨성대/ 대릉원지구: 많은 고분(천마총, 황남대총, 미추왕릉)/ 황룡사지구: 불교 사찰 유적(황룡사지, 분황사 석탑)/ 산성지구: 방어용 산성(명활산성 등))

 

·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2000)

 

· 조선 왕릉(2009, 44기 중 40기 등재, 연산군·광해군 묘 제외, 북한 개성 지역(신의왕후 제릉, 정종·장안왕후 후릉) 제외)

 

·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 양동(2010)

 

· 남한산성(2014, 17세기 병자호란 때 인조·소현세자 피난, 인조 때 행궁 건설)

 

· 백제역사유적지구(2015, 공주시: 공주(웅진성)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부여군: 부여(사비성) 관북리 유적(왕궁지), 부소산성, 정림사지, 능산리 고분군, 부여 나성(외성)/ 익산시: 왕궁리 유적(국내 최고 후원 발견), 미륵사지)

 

·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2018, 7개 사찰, 경남 양산시 통도사, 경북 영주시 부석사, 경북 안동시 봉정사, 충북 보은군 법주사, 충남 공주시 마곡사, 전남 순천시 선암사, 전남 해남군 대흥사)

 

· 한국의 서원(2019, 경남 함양군 남계서원(정여창), 경북 영주시 소수서원(안향), 경북 경주시 옥산서원(이언적), 경북 안동시 도산서원, 전남 장성군 필암서원(김인후), 대구광역시 달성군 도동서원(김굉필), 경북 안동시 병산서원, 전북 정읍시 무성서원, 충남 논산시 돈암서원(이이의 제자 김장생)) 

 

기록유산(18)

· 조선왕조실록(1997, 태조~철종, 연월일 순서에 따란 편년체로 기록, 사초+시정기+승정원일기+의정부등록+비변사등록 등, 기밀 유지를 위해 편찬에 사용되는 자료는 세초(문서를 씻는다. =파기), 임시관청 실록청에서 왕 사후에 작성)

 

· 「훈민정음(해례본)」 (1997, 간송 정형필이 세운 간송 미술관에 보관, 한자로 되어있음)

 

· 승정원일기(2001, 조선시대 국왕의 비서 기관인 승정원에서 왕명 출납, 각종 행정사무, 의례 등에 관한 일지, 1623년(인조)~1910년(순종)의 기록만 전해짐(조선 초 기록은 임진왜란 때 소실), 날짜 순으로 기록한 세계 최대 분량의 단일 역사 기록물)

 

·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 (2001, 백운화상 저술, 고려 우왕(1377) 때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인쇄, 현재 프랑스 파리 국립도서관에 보관)

 

· 조선왕조 「의궤」(2007, 왕실이나 국가 중요 행사 시 그림과 글로 남긴 문서, 임진왜란으로 왜란 이전 의궤는 소실, 현존 최고 의궤는 1601(선조) 의인왕후산릉도감의궤와 의인왕후빈전혼잔도감의궤가 있다. 화성성역의궤: 1866 병인양요 때 프랑스가 약탈해 간 후 2011년 5년마다 갱신임대 조건으로 반환하였다.)

 

·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2007, 팔만대장경과 5987판의 제경판)

 

· 동의보감(2009, 광해군 때 허준이 편찬, 의방유취를 요약한 것으로 선조의 명으로 광해군 때 편찬하였다.)

 

· 일성록(2011, 1760(영조)~1910년까지 국왕의 동정과 국정을 기록한 일기, 정조가 세손 시절부터 쓴 일기(존현각 일기)에서 유래, 1783년(정조)부터 국가 공식 기록으로 전환하여 1910년까지 기록되었다.)

 

·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2011)

 

· 새마을운동 기록물(2013)

 

· 난중일기: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 (2013)

 

· 한국의 유교책판(2015, 주로 서원에서 제작하였음)

 

·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2015, 1983년에 KBS에서 진행)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2017)

 

·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2017)

 

·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17세기~19세기 한일 간 평화구축과 문화교류의 역사(2017)

 

· 4·19혁명기록물(2023)

 

· 동학농민혁명기록물(2023)

 

무형문화유산(22)

·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

 

· 판소리(2003, 1884년에 신재효가 정리)

 

· 강강술래(2004)

 

· 강릉단오제(2005)

 

· 처용무(2009)

 

· 가곡, 국악 관현반주로 부르는 서정적 노래(2009)

 

· 남사당놀이(2009)

영산재, 사진출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영산재(2009, 부처가 인도의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하던 모습을 재현한 것이다. 6월 6일 현충일에 거행되고 있다.)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사진출체: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2009, 바다의 평온과 풍작 및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음력 2월에 제주에서 시향 하는 세시풍속이다.)

 

· 대목장, 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 장인(2010)

 

·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2010, 공동등재, 독일, 사우디아라비아, 오스트리아, 벨기에, 아랍에미리트, 헝가리, 몽골 등)

 

· 줄타기(2011)

 

· 택견, 한국의 전통 무술(2011)

 

· 한산 모시짜기(2011, 충남 서천군 한산 지역)

 

· 아리랑, 한국의 서정민요(2012)

 

· 김장,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2013)

 

· 농악(2014)

 

· 줄다리기(2015, 공동등재,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 제주해녀문화(2016)

 

· 씨름, 한국의 전통 레슬링(2018, 남북 공동 등재)

 

연등회, 사진출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연등회, 한국의 등 축제(2020, 음력 4월 8일 부처님 탄신일을 기념하는 종교의식에서 비롯된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전국적인 봄 축제이다.)

 

한국의 탈춤<사진출처: 문화재청>

탈춤, 대한민국의 가면극(2022, 한국의 탈춤이 강조하는 보편적 평등의 가치와 사회 신분제에 대한 비판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미가 있는 주제이며, 각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에 상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 등을 높이 평가하였다. <자료출처: 정책브리핑>, 양주별산대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 고성오광대, 통영오광대, 강릉단오제 중 '관노가면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