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삼국의 통치 체제▷ 삼국 초기의 통치 체제부족적인 성격으로 각 부의 귀족들이 각자 자신의 영역을 지배하였으며, 각자 제사를 지낼 정도로 왕권이 미약하였다. (외교권은 왕이 직접 하였다.귀족 합의 기구가 존재하였다. 성 · 촌 단위로 지방 행정이 형성되었다.▷ 삼국 후기의 통치 체제행정적 성격이 강해지며, 왕권 강화를 위해 관등제를 정비하고 지방행정 조직과 군사 조직을 일원화하였다.부 · 방 · 주 단위로 지방 행정을 개편하였으며, 지방관은 군대의 지휘관이었다. 1) 고구려 "감옥이 없고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들이 모여서 논의하여 사형에 처하고 처자들은 몰수하여 노비로 삼는다."관등: 평양 천도 이후 관등제를 정비하였다. 10여 관등으로 태대형, 대형, 소사자 등이 있다.수상(국상..

1. 신라BC 57년 박혁거세가 건국하였으며, 경주지역 토착민(박 씨 성 · 김 씨. 성) 및 유이민(석탈해) 집단과 함께 진한의 소국인 사로국에서 시작하였다. 1) 내물마립간 (17대, 356~402)낙동강 동쪽의 진한 지역을 거의 차지하였다. (사로국 → 훗날 신라)기존 박 · 석 · 김씨의 왕위 교대 방식에서 김 씨 왕위 세습 및 형제 상속으로 변경하였다.왕호를 마립간*으로 개칭하였음고구려를 통해 전진과 수교하였으며, 광개토 대왕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왜구를 격퇴하였다.신라에서 위두(사신)를 전진으로 파견하여 전진의 왕 부견에게 특산물을 보낸 것이 신라와 중국의 최초 교역이다.신라 왕호의 변천 및 의미사용 시기거서간(군장, 신령한 대인/제정일치)박혁거세차차웅(무당, 제사장/제정분리)남해이사금(연장자..

1. 고구려BC 37년 동명왕(주몽)이 압록강 유역 토착 세력과 부여 계통 유이민을 통합하여 졸본(오녀산성)에서 건국하였다.2대 유리왕 때 통구의 국내성으로 천도 1) 태조왕 (6대, 53~146)계루부 고씨의 왕위 독점 세습이 있었음(동) 옥저 복속 및 동예를 공격함요동·현도군을 공격하였음 2) 고국천왕 (179~197)부족적이던 5부를 행정적(수직화)으로 개편하였음왕위 부자상속 실시국상 을파소의 건의로 진대법(춘 대 추납)을 실시하면서 귀족을 견제함과 동시에 농민을 안정시켰으며, 왕권을 강화하였다. 3) 동천왕 (227~248)서안평을 공격하였으며, 위나라 관구검의 침입으로 환도성과 국내성이 함락됨.중국 오나라와 수교를 하며 위나라를 견제하였음 4) 미천왕 (을불, 300~331)서안평 점령낙..

1. 고조선의 세력 범위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요령 지방과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이룩하면서 발전하였다. 비파형 동검, 고인돌(탁자식, 북방식), 거친 무늬 거울, 미송리식 토기로 세력 범위를 알 수 있다.고조선: 청동기 문화를 배경으로 건국되었으며, 이후 철기문화를 수용하여 발전하였다.삼국유사(일연), 동국통감(서거정)에 따르면 단군왕검이 기원전 2333년(요임금)에 고조선을 건국하였다. (여고 동시) 2. 단군 조선기원전 4세기 요서 지방을 경계로 하여 전성기를 이루며, 연 나라와 대립하였다.스스로 왕이라 칭함기원전 3세기 초 진개(연)의 침입으로, 대동강 유역으로 중심지가 이동하였다. 강력한 왕(부왕)의 등장으로 왕위 세습 및 상, 대부*, 박사*, 장군 등의 관직을 정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