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1

[선거] 제21대 대통령 선거 일정 알아보기 대통령 탄핵 이후 조기 대선 일정은 언제일까요? 지금 바로 2025 대선 일정을 빠르게 확인해보겠습니다. 4. 4. 탄핵선고는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2025. 4. 4. 탄핵 선고 보러가기👆 2025 조기 대선 일정2025년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면서, 헌법에 따라 60일 이내에 조기 대선이 치러져야 합니다.헌법재판소 인용 결정이 4월 4일로 확정되었기 때문에, 최종 대선일은 6월 3일로 확정 되었습니다. 2025. 6. 3. 제21대 대통령 선거사전투표일: 5월 29일, 30일(목, 금)본투표일: 6월 3일(화), 임시공휴일 지정 2025년 헌재 인용 결정 보러가기 ≫ 부재자투표 자세히 알아보기 ≫ 사전 투표 자세히 알아 보기 ≫ 2025. 4. 6.
[선거] 2025. 4. 2. 지자체별 재·보궐선거 2025년 4월 2일 재·보궐 선거가 예정되어있는 지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탄핵인용에 따른 선거일정 알아보기 ≫ 2025. 4. 2. 지자체별 재·보궐 선거 일정 정리 올해 4월 지방자치단체별 재·보궐 선거는 아래와 같습니다. 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총 10개의 지자체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총 23 선거구에서 선거가 치러질 예정입니다. -서울: 구로구청장 / 중랑구 다, 마포구 사, 동작구 나선거구 지방의원-부산: 부산시교육감-인천: 강화군 국회의원 / 강화군 가선거구 지방의원-대구: 달서구제6선거구 국회의원-대전: 유성구제2선거구 국회의원-경기: 성남시제6, 군포시제4선거구 국회의원-충남: 아산시장 / 당진시제2선거구 국회의원-전남: 담양군수.. 2025. 2. 27.
[선거] 2025년 선거일정 탄핵 결정에 따른 재선거 일정 알아보기 탄핵 인용 결정, 기각 결정에 따라 2025. 4. 2. 재선거 일정 변경 여부가 결정될 예정입니다. 탄핵 인용·기각 결정 알아보기 ≫ 예상 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4. 2. 재•보궐선거 실시가 확정된 곳들이 있습니다. 2025. 4. 2. 재·보궐선거 실시 지역 알아보기 ≫ 헌법재판소의 결정일에 따라 선거일정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는데 3월 8일 이전 인용 결정 - 예상: 4월 말~ 5월 초- 재•보궐 선거와 대선 동시 시행 3월 9일~12일 인용 결정 - 예상: 5월 초~ 5월 중순- 재•보궐 선거와 대선 동시 시행 3월 13일 이후 인용 결정 - 4. 2. 재•보궐 선거 일정 변동 없이 진행- 대선 단독 시행 지금까지 대통령 탄핵시 대선과 .. 2025. 2. 26.
[선거]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에 따른 재선거 일정 알아보기 탄핵심판 결과에 따른 재·보궐선거 일정 일아보기탄핵 심판 결과가 나오면 선거 절차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 선거 절차와 예상 일정, 정치적 영향까지 자세히 알아보세요. 빠르게 선거 정보를 확인하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 재·보궐선거 일정 확인하기🔎 재·보궐선거 지역 확인하기 탄핵심판 결과와 선거 일정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과는 국가의 정치적 흐름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탄핵이 인용될 경우, 해당 공직자는 즉시 해임되며 새로운 선출 절차가 진행됩니다. 그렇다면 탄핵 결정 후 선거 일정은 어떻게 진행될까요? 1. 탄핵 인용 시 선거 일정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의 경우 60일 이내에 새로운 선거가 진행됩니다.이는 헌법 제68조 2항에 명시된 규정으로,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 2025. 2. 26.
[선거] 거소투표·사전투표 알아보기 거소투표와 사전투표 정리 2023년 재·보궐선거 주요 일정이 3월과 10월에 있습니다. 거소투표와 사전투표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본 후 올해 재·보궐선거의 거소투표와 사전투표 관련 사항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소투표란 신체에 중대한 장애가 있어 거동할 수 없는 사람 등이 거소투표신고를 하면 병원·자택 등 자신이 머무는 곳에서 우편으로 투표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자택 등 거주하는 곳에서 우편으로 투표하려면 반드시 거소투표 신고를 해야 하는데, 그 자격이 있는 사람들은 소속기관 또는 시설 등의 장의 확인을 받아야 합니다.① 사전투표소 및 투표소와 멀리 떨어진 영내 또는 함정에서 오랫동안 생활하는 군인이나 경찰공무원② 병원·요양소에 머물거나 수용소·교도소 또는 구치소에 수용·수감된 사람(동 시설에 근.. 2023. 9. 19.
[한국사] 조선 왕조 1 - 15세기 조선의 왕, 아이엠그라운드 27명 소개하기. ※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 비록 저는 성인이 된 후에 한국사를 공부하면서 제대로 알게 되었지만(반성합니다)... 대한민국 국민에게 친숙한 조선 왕의 순서입니다. 사실 조선시대는 왕의 순서만 알아도 풀리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꾸러기 수비대(똘기 떵이 호치 새초미 자축인묘, 드라고 요롱이 마초 미미 진사오미, 뭉치 키키 강다리 찡찡이 신유술해~)' 노래처럼 정확하게 입에 붙도록 암기합시다. 15세기, 조선전기(왕권과 통지체제의 정비) 태조(1392~1398)정종(1398~1400)태종(1400~1418)세종(1418~1450)문종(1450~1452)단종(1452~1455)세조(1455~1468)예종(1468~1469)성종(1469~14.. 2023.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