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백회의2 [한국사] 고대 사회 1. 삼국 사회 1) 신분 제도 (1) 삼국 시대 이전(부여, 초기 고구려, 삼한)부족의 통합 과정에서 지배층 사이의 위계서열이 마련되고, 이것이 신분제도로 발전해갔다.가 · 대가부족장 세력으로 호민을 통해 읍락을 지배하고 자신의 관리와 군사력을 지니고 정치에 참가했다. 중앙집권화 과정에서 귀족으로 편제되었다.호민경제적으로 부유한 계층으로 고구려 호민은 좌식자로 전사 집단이기도 했다.하호농업에 종사하는 평민으로 부여의 하호는 전쟁 시 식량을 공급하기도 하였다.노비읍락의 최하층에 존재한 집단으로 주인에게 예속되어 생활하는 천민층이다. (2) 삼국 시대신분적 차별은 법적으로 더욱 강한 구속력을 형성하였고 지배층은 율령을 제정하여 특권을 유지하였다.개인의 능력보다 신분이 중요시.. 2023. 9. 11. [한국사] 고대 국가 및 남북국시대의 통치 체제 1. 삼국의 통치 체제▷ 삼국 초기의 통치 체제부족적인 성격으로 각 부의 귀족들이 각자 자신의 영역을 지배하였으며, 각자 제사를 지낼 정도로 왕권이 미약하였다. (외교권은 왕이 직접 하였다.귀족 합의 기구가 존재하였다. 성 · 촌 단위로 지방 행정이 형성되었다.▷ 삼국 후기의 통치 체제행정적 성격이 강해지며, 왕권 강화를 위해 관등제를 정비하고 지방행정 조직과 군사 조직을 일원화하였다.부 · 방 · 주 단위로 지방 행정을 개편하였으며, 지방관은 군대의 지휘관이었다. 1) 고구려 "감옥이 없고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들이 모여서 논의하여 사형에 처하고 처자들은 몰수하여 노비로 삼는다."관등: 평양 천도 이후 관등제를 정비하였다. 10여 관등으로 태대형, 대형, 소사자 등이 있다.수상(국상.. 2023. 9.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