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통일 신라 (남 · 북국 시대) 1) 신라 중대의 정치무열왕 ~ 혜공왕 (삼국사기 구분에 의함): 무열계 진골의 왕위 세습왕권의 강화국왕과 집사부(시중) 중심의 정치6두품(행정실무 담당, 국왕의 정치적 조언자)의 역할 증대화백회의(상대등)의 권한 약화13개 관부를 병렬적 독립기관으로 하였으며, 각 부의 장관은 여러 명이었다. (1) 무열왕 (김춘추, 654~661)김유신의 후원을 받은 김춘추는 상대등 비담의 반란을 진압하고 상대등 알천을 견제하여 최초의 진골 출신 왕이 되었다.무열 왕계 진골 직계 자손이 왕위에 오르기 시작하였다.백관들을 감찰하는 감찰 담당 기구인 사정부를 설치(659)하였다.백제를 정복하였다. (660)집사부 시중의 권한을 강화하여 상대등 세력을 억제하여 진골 귀..

1. 삼국의 통치 체제▷ 삼국 초기의 통치 체제부족적인 성격으로 각 부의 귀족들이 각자 자신의 영역을 지배하였으며, 각자 제사를 지낼 정도로 왕권이 미약하였다. (외교권은 왕이 직접 하였다.귀족 합의 기구가 존재하였다. 성 · 촌 단위로 지방 행정이 형성되었다.▷ 삼국 후기의 통치 체제행정적 성격이 강해지며, 왕권 강화를 위해 관등제를 정비하고 지방행정 조직과 군사 조직을 일원화하였다.부 · 방 · 주 단위로 지방 행정을 개편하였으며, 지방관은 군대의 지휘관이었다. 1) 고구려 "감옥이 없고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들이 모여서 논의하여 사형에 처하고 처자들은 몰수하여 노비로 삼는다."관등: 평양 천도 이후 관등제를 정비하였다. 10여 관등으로 태대형, 대형, 소사자 등이 있다.수상(국상..